![]() |
BPVC | |||||
![]() |
관리자 | ![]() |
2023-07-27 | ![]() |
392 | |
1. BPVC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12개 섹션, 전체 28권, 20 000여 페이지. 2011년 까지는 3년 주기로 개정, 보완되었으나 2013년 이후는 2년 주기로 변경되었다. 2. 섹션-2의 재료사양 다양한 품목에 적용되는 재료의 특성을 포함한다. -허용응력 및 설계 응력강도, 인장강도, 항복강도. 열팽창계수, 탄성계수 등 재료의 특성값이 제시되었다. 그동안 실무에 적용했던 재료별 특성값은-알았던 몰랐던 간에- 이 재료사양을 근거로 한 것이다. BPVC가 플랜트를 포함한 기계산업 분야에서 金科玉條인 이유 중의 한 가지는 바로 전세계에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 체계화 한 것 때문이다. 건설로부터 원자력 발전소까지를 포함하는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를 그룹화하여 1에서부터 62까지의 번호를 부여한 것인데, 이것이 바로 P-번호이다. 실로 위대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. ☞같은 번호를 갖는 재료로 만든 제품(예, 관, 피팅, 플랜지, 밸브 등)의 사용온도별 최고 사용압력은 동일하다. 3. 제정 경위 1907년 매사추세츠주에서 보일러 안전을 위한 최초의 코드 제정/ASME의 스팀보일러 규칙을 기본으로 함. -1905년 3월 20일 매사추세츠주의 한 공장에서의 보일러 폭발사고/58명 사망, 150명 부상 -1905년 12월 또 다른 공장에서 보일러 폭발 1911년 ASME에 ‘보일러 코드위원회’ 설치 1914년 보일러 코드(Boiler Code, 114페이지)가 제정 1915년 “고정설치식 보일러의 건설규칙 및 허용 작동압력” 규정 추가. 4. BPVC의 적용 전세계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용. 기계, 중공업 등 플랜트 산업분야의 대표적인 코드 ☞배관공학 pp53~55 ☞QnA No.1499 P-번호와 UNS 번호란 무었이며, 어디에 사용하는가? |
||||||
![]() |
역류방지밸브의 4가지 형태 |
![]() |
Built-in type Control Valve |